대통령선거 앞두고 민생과 밀접한 물가 상승하면서 서민 살림살이 팍팍해지고 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이 촉발한 환율 급등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수입 원자재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됐고,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먹거리 가격은 여전히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반년 만에 다시 하락했고, 1분기 체불임금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민생고가 더욱 심화하는 모습이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올 들어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1월 2.2%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 2월(2.0%), 3월(2.1%), 4월(2.1%)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특히 민생과 밀접한 물가들이 지속해서 상승하면서 서민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물가는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 당장 4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1% 오르며 7개월 만에 또 2%대를 기록했다.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2.4% 오르며 전달(2.1%) 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근원물가 상승 폭이 전체 소비자물가 지수와 같거나 더 커진 것이다. 기조적인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임금이 줄다보니 소비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러다보니 내수경기 침체 악순환은 지속된다.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내구재를 중심으로 판매가 줄면서 0.3% 감소했다. 소비가 줄면서 자영업자들의 ‘곡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분기 기준 개인사업자(소호) 대출 연체율은 평균 0.51%로 10년 만에 최고치다.
자영업자의 경영난은 근로자 임금체불로도 연결된다. 지난해 사상 최대인 2조448억원을 기록한 체불임금 규모는 올해 1분기(1~3월) 6043억원으로 또 다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지난해 3월 기준(5718억원)보다 무려 325억원 급증한 금액이다. 피해 근로자 수는 무려 7만2839명에 달한다.
'봉석하우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가 상승과 소비 심리 위축이 장기화하면서 체감 경기 하락 (0) | 2025.05.06 |
---|---|
5대 은행 가계대출 금리 연 4%대에서 내려오지 못하고 있다. (0) | 2025.05.05 |
배달라이더·학원강사 등 인적용역 소득자 세금 환급 (1) | 2025.04.29 |
주말 공휴일 기차 출발 직전에 승차권을 환불하면 위약금이 두배 (0) | 2025.04.28 |
미국 정부의 새로운 인공지능(AI) 전용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 주가 10% 정도 급락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