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슈밥 집행위원장-IMF 게오르기에바 총재, 두바이서 개최되는 세계정부정상회의에서 글로벌 혁신의 ‘새 시대’ 논의
정부 및 기업 리더들이 두바이의세계정부정상회의에 모여 의료, 교육, 기술, 국제 무역, 모빌리티 분야의 솔루션에 초점을 맞춰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한 혁신적인 로드맵 마련
각국 정부, 기업 경영진, 선도적 사상가(thought leaders)들이 모여 글로벌 거버넌스의 중대한 변화를 다루는 ‘제12회 세계정부정상회의(World Governments Summit, 이하 WGS 2025)가 지난 11일(현지 시간) 두바이에서 개막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내무부 장관 겸 세계정부정상회의 의장인 모하마드 압둘라 알 게르가위(H.E. Mohammad Abdullah Al Gergawi)가 이끄는 이 글로벌 플랫폼은 지구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포용적 대화를 촉진하며, 기후 변화, 글로벌 경제 과제, 교육과 모빌리티의 재정의, 글로벌 무역의 새로운 트렌드 등의 주제를 다룬다. 특히 중국과 미국 간의 경쟁 속에서 AI의 영향력은 이번 서밋의 모든 논의에서 중심 주제로 부각되었다.
게르가위는 “지난 25년은 주요한 혁신과 변화로 대표되는 놀라움의 연속이었다”며 “글로벌 경제 질서가 거대 산업이 지배하던 시대에서 기술 기업과 디지털 플랫폼이 주도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과 인도가 떠오르는 반면, 일부 선진 산업 국가는 쇠락하고 있다. 이제 도래할 새 시대는 새로운 규칙으로 기록될 것이다”고 말했다.
콜롬비아 대통령 구스타보 페트로(Gustavo Petro), 폴란드 대통령 안제이 두다(Andrzej Duda), 스리랑카 대통령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Anura Kumara Dissanayake) 등 30여 명의 국가 및 정부 수반과 80개 이상의 국제기구, 140개 정부 대표단, 6000여 명의 참석자가 참여하는 WGS 2025에서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가속하고 디지털 시대의 리더십을 재정의하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탐색한다.
IMF 총재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Kristalina Georgieva)는 글로벌 경제의 ‘놀라운 회복력(remarkable resilience)’을 강조하면서, 두 가지 근본적인 발전을 지적했다. 첫째, 엇갈리는 경제 상황으로, 걸프 경제는 호조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유럽과 일부 신흥 시장은 여전히 취약한 상태로 남아 있는 현실이다. 둘째, AI 도입의 격차로, 일부 국가에서는 생산성 향상 도구로 AI를 활용하고 있는 한편, 다른 국가에서는 이러한 혁신적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정부와 인간이 AI와 같은 신기술을 잘 다루고 있는지, 그리고 AI는 ‘하극상(tail wagging the dog)’인지를 묻자, 그는 “개가 이미 우리에게 짖고 있고, 우리는 잘 대비해야 한다(already barking at us and we better be prepared)”고 대답했다. 더 광범위한 의미에서 그는 “지금이 다극 세계(multi-polar world)이며, 일부 신흥 시장 경제는 규제 완화(deregulation), 디지털화(digitisation), 다각화(diversification)라는 세 가지 ‘D’로 인해 ‘훨씬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혁신을 향한 비즈니스와 정부의 파트너십
다양한 산업과 지역을 아우르는 토론 전반에서, AI의 와해적 영향력은 반복되는 주제였다. 이번 서밋에서는 자동차 부문, 교육, 거버넌스에 대한 AI의 영향력을 검토했다.
세계경제포럼 창립자 겸 집행위원장인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정부가 교육자 역할을 해야 하고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더 많은 기회를 가져올 수 있는지 사회에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는 그냥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미래는 우리가 모습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미래는 정부, 기업, 시민 사회 간의 협력과 공동의 노력을 통해 형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UAE 인공지능·디지털 경제·원격 근무 응용 분야 국무장관 겸 세계정부정상회의 부의장인 오마르 술탄 알 올라마(H.E. Omar Sultan Al Olama)는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agentic automation)가 인력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에 대한 토론을 주도했다.
올라마는 “이번 서밋에서 우리는 인력 발전에 대한 사전 예방적 접근 방식을 개발하여 경제가 민첩성을 유지하고, 인재가 지속적으로 기술을 향상하며, 중요 부문이 보호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는 AI가 전 세계를 위해 어떤 모습이 될 것인지에 대한 포용적 비전을 제시하고, 전 세계의 다른 모든 대화에서는 들을 수 없는 목소리도 반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AI 기반 인력 변화에 적응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업계 리더들은 특히 비용 절감과 경쟁 촉진 등 AI 발전의 경제적 효과를 강조한다.
IBM 최고경영자인 아르빈드 크리슈나(Arvind Krishna)는 “딥시크(Deepsee)는 70년 동안 모든 기술에서 보아왔던 트렌드가 일어나고 있는 자성적 순간이다. 비용은 낮아지고, 이를 제공하는 능력도 줄어들고, 경쟁은 치열해진다. 모두를 위한 장점은 앞으로 비용이 훨씬 더 낮아진다는 점이다. 기술 업계에게 이런 현실은 더 저렴하게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는 의미이다”고 말했다.
AI가 글로벌 파워 구조에 미치는 영향
이번 서밋에서는 사회적 영향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걸친 AI 응용의 잠재력과 AI 규제의 필요성, 그리고 그 한계에 대해 검토한다.
오라클(Oracle) 총괄 부사장인 마이크 시실라(Mike Sicilla)는 의료 분야가 AI가 크게 발전할 주요 분야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AI는 세계 각국 정부가 개인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 규칙을 위반하지 않고도 협력할 탁월한 기회이다. 향후 몇 년 안에 의료 분야에서 응용 AI 사용과 관련된 놀라운 혁신이 일어날 것이고, 거시적 차원의 감염병 추적과 개인 맞춤형 의약품 및 백신 수준에 있어서 모두 진행될 것이다”고 말했다.
유럽의 AI 발전에 대해 언급하면서 SAP 최고경영자인 크리스티안 클라인(Christian Klein)은 “LLM은 점점 더 상품화될 것이며 비즈니스 프로세스 수준에서 가치 창출이 이루어질 것이다”며 “우리는 고객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비즈니스 AI를 도입할 예정이다. 제조업, 소매업, 공공 부문 등 어떤 분야에서 종사하든 이제는 최종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칼텍(Caltech) 교수, 전 엔비디아(NVIDIA) AI 시니어 디렉터 및 TIME100 AI 임팩트 어워드 수상자인 아니마 아난드쿠마르(Anima Anandkumar)는 딥시크와 같은 오픈소스 스타트업이 부상하는 상황에서 타겟팅된 AI 규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딥시크의 성공은 혁신을 촉진하는 오픈소스 AI 모델인 메타 라마(Meta Llama)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규제가 오픈소스 개발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AI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최종 애플리케이션을 규제하는 법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이 인공지능을 통해 거버넌스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아부다비가 인공지능 기반의 정부 이니셔티브를 도입하면서, 글로벌 리더들은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과 정부가 글로벌 규모로 협업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터키공화국 재무부 장관 메흐메트 쉼섹(Mehmet Şimşek), 포르투갈 경제부 장관 페드로 레이스(Pedro Reis), UAE 대외무역부 장관 타니 알 제유디(Thani Al Zeyoudi)로 구성된 고위급 패널은 AI 분야의 경제 동맹이 글로벌 영향력을 형성하는 데 어떻게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미래지향적 리더십을 위한 세계 최고의 모임인 WGS 2025는 글로벌 변화의 핵심 동력으로서 그 역할을 재확인하고 있다. 이 서밋은 부문 간 협력과 포용적 대화를 촉진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이고 혁신적이며 상호 연결된 거버넌스 모델을 향한 진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서밋이 열리는 3일 동안 정책 입안자, 업계 리더, 비전을 가진 이들이 지능형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경제, 전략적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형성되는 미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성공하는기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업사이클 강사 양성과정’ 참가자 모집 (2) | 2025.02.15 |
---|---|
글로벌 현직 개발자와 함께하는 IT 학습 커뮤니티…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잇츠 스터디’ 3기 킥오프 (3) | 2025.02.15 |
위클로, 커스텀 프로그램 전면 리뉴얼로 사용자 경험 개선 모바일 최적화 및 커뮤니티 후기 기능 추가로 더 나은 서비스 제공 (2) | 2025.02.14 |
네스카페 돌체구스토, 브랜드 앰배서더로 배우 이청아 발탁 (0) | 2025.02.14 |
메두사 대표모델 진주비, 치매 할머니를 위해 사회복지과에 입학 (0) | 2025.02.14 |